목록Futures Exchange (8)
Tools
1. 개요 - Parabolic지표는 기존추세가 끝나고 새로운 추세가 시작되었다 (Stop and Reversal : SAR) 라는 추세 전환의 신호를 포물선 형태로 나타내는 지표 2. 산식 - 익일 SAR = 당일 SAR + AF(EP - 당일SAR) AF = 가속변수 EP = 극단가격 - AF는 0.02에서 새로 출발해 내일의 SAR값을 계산한다. 이때 AF값을 임의로 조정할 수도 있는데, AF값을 크게 하면 추세의 변화에 민감 3. 함수식 - sar(af,maxAf) 4. 활용 방법 - 주가가 SAR아래로 가격이 떨어지면 매도 - 주가가 SAR 위로 가격이 올라갔을 때는 매수 - 추세시장에서는 효과적인 지표이나 비추세적 시장에서는 Whipsaw가 많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음. =============..
차익거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차익거래(差益去來, Arbitrage)란 서로 다른 두개 이상의 시장에서의 가격 차이를 이용하여 수익을 내는 거래를 말한다. 주로 대형 펀드 등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한 알고리즘 트레이딩을 통해 짧은 시간 단위로 꾸준히 수익을 내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개념 일물일가의 법칙(law of one price)은 효율적인 시장에서 모든 개별적인 상품은 하나의 고정적인 가격을 지녀야 한다는 내용의 법칙이지만, 내용상 같은 상품이라도 그 형태가 다를 경우, 약간의 시간차를 두고 가격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면 선물 시장의 가격과 현물 시장의 가격 차이를 이용하여, 선물이 비싸지고 현물이 싸질 때는 현물을 사고 선물을 파는 전략을, 선물이 싸지고 현물이 비싸질 ..
RSI [개요] RSI는 현재 추세의 강도를 백분율로 나타내어 언제 주가 추세가 전환될 것인가를 예측하는데 유용한 지표입니다. [해석] - RSI의 값이 70 이상이면 과도 매수 상태로 판단하여 매도 시점으로 생각할 수 있고, 30 이하이면 과도 매도 상태로 생각되어 매수 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 RSI의 값이 30 이하이거나 70 이상일 때 주가 추세와 Divergence가 나타나면 추세 반전 신호로 판단됩니다. - 주가가 상승 추세로 보이고 있을 때 RSI의 값이 직전 최고 수준을 돌파하지 못하고 하락하다가 직전 저점을 하향 돌파하는 순간이 매도 시점이 되며, 반대로 주가가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을 때 RSI의 값이 직전 최저 수준을 돌파하지 못하고 상승하다가 직전 고점을 상향 돌파하는 순간..
헤지펀드 [요약] 단기이익을 목적으로 국제시장에 투자하는 개인모집 투자신탁 외국어 표기 hedge fund(영어) 개인을 모집하여 조성한 자금을 국제증권시장이나 국제외환시장에 투자하여 단기이익을 거둬들이는 개인투자신탁이다. 투자지역이나 투자대상 등 당국의 규제를 받지 않고 고수익을 노리지만 투자위험도 높은 투기성자본이다. 헤지란 본래 위험을 회피 분산시킨다는 의미이지만 헤지펀드는 위험회피보다는 투기적인 성격이 더 강하다. 뮤추얼펀드가 다수의 소액투자자를 대상으로 공개모집하는 펀드인 데 반해, 헤지펀드는 소수의 고액투자자를 대상으로 하는 사모 투자자본이다. 또 뮤추얼펀드가 주식, 채권 등 비교적 안전성이 높은 상품에 투자하는 데 반해 해지펀드는 주식 채권만이 아니라 파생상품 등 고위험, 고수익을 낼 수 있..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and Divergence ] 제랄드 아펠(Gerald Appel)에 의해 개발된 기법으로 26일간의 지수평균과 12일간의 지수평균간의 차이를 산출하여 구하며, 이 두 지수평균의 차이를 다시 9일간의 지수평균으로 산출하여 시그널(signal)로 사용한다[네이버 지식백과] MACD [Moving Average Convergence and Divergence] (NEW 경제용어사전, 2006. 4. 7., 미래와경영) 이동평균수렴·확산지수. 기간이 다른 이동평균선 사이의 관계에서 추세변화의 신호를 찾으려는 진동자 지표다. 이동평균선은 주가의 단기변동 때문에 나타나는 불규칙성을 제거하기 위해서 만드는데 MACD는 이러한 이동평균선을 이용해 매매신호를 찾..
골든크로스 [요약] 주가를 기술적으로 분석하여 예측하는 지표의 하나 외국어 표기 golden cross(영어) 주가나 거래량의 단기 이동평균선이 중장기 이동평균선을 아래에서 위로 돌파해 올라가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강력한 강세장으로 전환함을 나타내는 신호로 받아들여진다. 보통 '단기 골든크로스'는 5일 이동평균선이 20일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하는 것을 말하며, '중기 골든크로스'는 20일선과 60일선을, '장기 골든크로스'는 60일선과 100일선을 비교한다. 예를 들어 단기 골든크로스가 나타났다면 5일간 주가의 평균가격(5일 이동평균선)이 20일간 주가의 평균가격(20일 이동평균선)을 넘어서는 현상을 말한다. 이것은 최근 5일간 투자심리가 지난 20일간 투자심리보다 좋아지면서 주가가 올라갈 가능성이 ..
주가이동평균선[株價移動平均線 ] 1960년대 그랜빌이 수학의 이동평균선을 주식으로 가지고 오면서 이동평균선을 주식에서도 활용하게 되었다. 이동평균선은 주가의 평균치를 연결한 선을 말한다. 이동평균선 가격의 이상으로 거래가 되었다면 이익이 남는 상태가 되고, 이동평균선 이하에서 거래가 되었다면 손실을 보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5일 이동평균선, 10일 이동평균선, 60일 이동평균선 등으로 말하는데 5일 이동평균선은 5일 동안의 평균주가를, 10일 이동평균선은 10일 동안의 평균주가를 이어놓은 선을 말한다.[네이버 지식백과] 이동평균선 (시사경제용어사전, 2010. 11., 대한민국정부) 일정기간 동안의 주가를 산술 평균한 값인 주가이동평균을 차례로 연결해 만든 선. 주식시장에서 주가와 거래량 및 거래대금은..
엘리엇 파동이론[Elliott wave principle, -波動理論 ] 요약 주가는 연속적인 8개의 파동이 사이클을 이루며 상승과 하락을 반복한다는 이론으로, 주가변동을 예측하는 기법으로 사용된다. 미국의 회계사 출신 아마추어 주식 분석가인 랠프 넬슨 엘리엇(Ralph Nelson Elliott, 1871~1948)이 1938년 이라는 저서를 통해 발표한 이론으로, 21세기에 이르러서도 여전히 주식의 등락을 예측하는 기초적인 증권시장 기술분석 기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엘리엇은 1930년대 초부터 과거 75년간의 주가 움직임에 대한 연간, 월간, 주간, 일간 데이터는 물론 30분 단위의 데이터까지 면밀히 분석한 결과 주식시장도 자연법칙에 따라 움직이는 반복적인 법칙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엘리엇 파동이론은..